_대문 | 방명록 | 최근글 | 홈피소개 | 주인놈
FrontPage › Flat파일압축보관방법

Contents

[-]
1 개요
2 압축방법1
3 압축방법2
4 압축률과 성능의 차이


1 개요 #

DW에서는 Flat파일을 보관하는 일이 자주 있다. Flat파일의 크기는 보통 GB단위이다. 많은 양의 Flat파일을 보관하는데는 Disk의 압박이 있다. 운영계에도 Log성 데이터를 Flat파일로 보관하는 일이 자주 있다. 역시 Disk의 압박을 자주 느낄 것이다. Disk의 압축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Windows 운영체제의 명령인 compact를 소개한다. 단, NTFS 압축은 클러스터 크기가 4KB 이하여야 한다.

2 압축방법1 #


  1. 압축 폴더를 만든다.
  2. 압축 폴더에 Flat파일을 만든다.

참고: 압축폴더 만들기(명령 프롬프트)
compact /c /s:D:\FlatFile

#해당폴더에서 마우스 오른키 -> 속성 -> 고급 -> 내용을 압축하여 디스크 공간 절약 을 선택해도 된다.

3 압축방법2 #

  1. 특정 폴더에 Flat파일을 만든다.
  2. 압축한다.

참고: 압축파일 만들기(명령 프롬프트)
compact /c /s:D:\FlatFile 20081112.txt

#압축풀기 옵션은 /u

4 압축률과 성능의 차이 #

  • 테스트 시나리오
    • 방법1: 테이블을 압축폴더 경로로 지정하여 Flat파일을 만든다. (Flat파일 생성하면서 압축)
    • 방법2: 테이블을 특정폴더 경로로 지정하여 Flat파일을 만든 후 압축 함.
  • 테스트 결과
방법압축률성능(시간)차이
방법1원래:4.6GB, 압축:2.92GB약 10분
방법2원래:4.6GB, 압축:2.87GB약 25분

압축효율과 성능을 변수로 따져봤을 때, 방법1이 유리함을 알 수 있다. 물론 압축률은 데이터에 따라서 틀리다.

댓글 남기기..
이름: : 오른쪽의 새로고침을 클릭해 주세요. 새로고침
EditText : Print : Mobile : FindPage : DeletePage : LikePages : Powered by MoniWiki : Last modified 2018-04-13 23:12:54

아무리 베풀어도 모자란 것은 다름 아닌 타인에게 베푸는 “사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