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 주어진 영역(예: 1제곱킬로미터)안에 있는 포식자수
- V: 주어진 영역(예: 1제곱킬로미터)안에 있는 피식자수
단위 시간(예: 1일)안에 포식자와 피식자가 마주치는 횟수는?
시간에 따른 개체수 변화
- U(t): 시간 t에서의 포식자수
- bU(t): b는 포식자의 출생률
- dU(t): d는 포식자의 사망률
- V(t): 시간 t에서의 피식자수
- b'V(t): b'는 피식자의 출생률
- d'V(t): d'는 피식자의 사망률
한 단위시간이 지났을 때 포식자의 수
- U(t+1) = U(t) - dU(t) + bU(t)
한 단위시간이 지났을 때 피식자의 수
- V(t+1) = V(t) - d'V(t) + b'V(t)
피식자와 포식자의 상호작용
- r[cU(t)V(t)]: 여기서 r은 잡아먹는 피식자(먹이)를 자손으로 전환하는 효율을 나타내는 상수
- r'[cU(t)V(t)]: 여기서 r'은 피식자가 잡아먹히는 빈도를 가리키는 상수
피식자와 포식자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포식자의 수
- U(t+1) = U(t) - dU(t) + bU(t) + r[cU(t)V(t)]
- V(t+1) = V(t) - d'V(t) + b'V(t) - r'[cU(t)V(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