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전망이론(Prospect theory)
2 예제1
3 예제2
4 가치 함수


1 전망이론(Prospect theory) #

  • 합리적 기대 효용 이론이 들어맞지 않는 심리학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
  • 인간은 합리적이다(X) --> 인간은 비합리적
  • 손해를 보면 인간은 나도 모르게 비합리적 행동을 취한다.
  • 대니얼 카너먼 교수의 대표적 이론(2013년 노벨경제학상 수상)

2 예제1 #

A. 동전 던지기로 앞면 100만원, 뒷면 -50만원의 경우
B. 게임을 하지 않으면 그냥 20만원 획득

  • A의 경우(100 × 0.5)+(-50 × 0.5) =기대이익 25만 원
  • B의 경우(20 × 1.0)+(0 × 0) =기대이익 20만 원

대부분의 사람들(한국 제외)은 위험이 적고, 확실한 편을 선택한다 -> B선택
기대이익은 A가 더 많음

3 예제2 #

현재 100만원 손해다.

A. 동전 던지기로 앞면 70만원, 뒷면 -90만원의 경우 --> 기대이익 -10만원
B. 게임을 하지 않으면 그냥 10만원 획득

현재 100만원 손해인 상황에서 10만원 획득한 경우와
손해가 없는 상황에서 10만원 획득의 심리 상태는 매우 다르다.

이 상황에서 A를 선택하는 비합리적인 경우가 나타날 수 있다.
과거에 실패 등이 현재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주는 성크 코스트 효과(매몰 비용)라고 한다.

4 가치 함수 #

  • 100만원 이익이 주는 만족감이 1이라면
  • 100만원 손실이 주는 실망감은 약 2.4이다.

http://databaser.net/moniwiki/pds/_ec_9e_90_ec_82_b0_ea_b4_80_eb_a6_ac/prospect_theory.png
--https://en.wikipedia.org/wiki/File:Loss_Aversion.png
Retrieved from http://www.databaser.net/moniwiki/wiki.php/전망이론
last modified 2021-04-09 18:5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