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동학적 부정합성
2 가격결정
3 생산성
4 수율(Yield)
5 이니셔티브
6 변동률


1 동학적 부정합성 #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상대방의 전략을 간파하고 그 상황을 고려한 전략을 세우기 때문에 원하는 순서대로 일을 진행시킬 수 없다는 모순을 안고 있다. 이처럼 사전에는 가정 적합했던 전략이 실제로 시간이 지나 실행단계에 이르면서 적합하지 않은 전략으로 바뀌는 것을 전문용어로 '동학적 부정합성'이라고 부른다. 이 동학적 부정합성은 임기응변이라는 자유재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 [http]확률의 법칙(http://databaser.net/moniwiki/wiki.php/BookLog#s-22) 에서..

2 가격결정 #

3 생산성 #

  • 생산성 = Output / Input * 100 (얼마나 많이 생산했는가가 아니다!)
  • 수율, 사이클타임, 가동률로 결정됨
  • 예를 들어, 100을 투입해서 95를 얻었으면 생산성은 95%다.
  • A공장에서 100개의 제품을 생산했고, B공장에서 90개의 제품을 생산했다고해서 A공장의 생산성이 좋다고 말 할 수는 없다.
  • 사이클 타입(Cycle Time)[1]이 짧을 수록 생산성은 높아진다.
  • 이상적인 가동률(Operating Ratio)은 100%
    • 100%가 넘는 가동률은 무언가 희생된 것임
    • 사무직원의 생산성 110%, 급여를 받지 않고 10%의 초과 근무의 가능성
    • 건설 일용직 근로자의 생산성 120%, 체력적으로 무리함

4 수율(Yield) #

수율의 4가지 정의
  • 총 투입대비 총 산출의 비율
  • 투입된 원자재가 전혀 손실없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이상적인 산출량 대비 실제로 생산된 산출량의 비율 (이상=100, 실제=95, 수율=95%, Loss=50)
  • 최종 산출물 대비 검사 통과의 제품 수의 비율(산출=100, 검사통과=95, 수율=95%)
  • 산출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CTQ: Critical To Quality)들에 결함이 발생하지 않고, 생산 활동이 진행될 확률(6시그마에서 사용)

5 이니셔티브 #

  • 이니시어티브(initiative): 솔선수범적인. 진취적인. 주도적인 구상. 제안. 발의

6 변동률 #

몸무게가 58.5Kg에서 60.0Kg이 되었다. 변동률은?
변동률 = (60.0-58.5)/58.5 * 100 = 2.5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