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대문 | 방명록 | 최근글 | 홈피소개 | 주인놈
FrontPage › 온톨로지(Ontology)

Contents

[-]
1 온톨로지 개요
2 참고자료


1 온톨로지 개요 #

현재까지의 웹은
- 지능적 검색 능력
- 지적인 수행 능력
부족함.

사용자의 수준은 높아짐. 그러므로 질적으로 향상된 정보서비스를 위해서는 축적된 정보를 단순히 공유하는 것 외에도 지식을 기술하고 표현하며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통제 메커니즘이 필요

그게 바로 온톨로지. 온톨로지는
- 개념과 관계의 명세
- 지식의 표현
- 공유 및 활용
의 핵심 기술이다.

온톨로지는 지식을 수집하고 표현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추론기능 지원 -> 지식 모델링, 지식 검색에 유용 (지식 명세서)


지능이란? 지능을 분류하면...
  •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능력 --> 온톨로지와 관련됨
  • 추상적으로 사고하는 능력 --> 온톨로지와 관련됨
  • 계획하는 능력
  •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 개념과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 --> 온톨로지와 관련됨
  • 학습하는 능력
  • 유사한 개념이나 사물을 분류하는 능력 --> 온톨로지와 관련됨

철학
  • 온톨로지는 철학의 한 분류로 '존재론' or '존재학'이라고 불려짐.
  • 사물(thing)의 기본적인 범주나 세상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상징하는 일반적인 개념을 다루는 학문
  • 즉, 존재하는 것과 그것의 기본적인 범주를 연구하는 학문

object -> 구체적인 실제
class, property, relation -> 추상적 실재

분류
  • 비슷한 사물이나 개념들을 식별하고 배열하는 방법으로 사물이나 개념을 보자 잘 이해하고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 기본적으로 일련의 표준을 제공함으로써 의사소통을 간소화 함.


분류는 인간이 정보를 체계화하고 그로부터 추론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가장 기본적인 행위. 처음보는 객체지만 그것이 의자의 범주에 속한다면 우리는 그것에 앉을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학습 -> 세분화 (아이스크림이 뭔지 알고 있는 상태에서 소프트아이스크림이 뭔지 하드아이스크림이 뭔지 학습한다 -> 분류가 가능하다)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개념화 단계 :
  • 개체식별 -> 분류
    • 각 범주에 속한 것들이 어떠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 그들간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알게 된다.
      -> 온톨로지는 개념화의 결과물

존재에 대한 체계적 이론으로 세상의 모든 것들을 단순화/추상화 하여 분류함으로써 이들의 계통을 세워 현상을 설명하려고 한다.

인간의 개념화 과정을 온톨로지 언어를 이용하여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는 것

정보시스템은 기업의 정보환경에 대한 이해 필요하지만, 연관된 모든 비즈니스의 정보환경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 필요 -> 온톨로지는 비즈니스 정보환경을 눈에 드러나도록 분명하게 모델링하여 체계화함으로써 정보시스템들 간 정보 공유 및 처리를 자동화하고 관련된 비즈니스와의 연동을 쉽게 한다.






시스템은..
  • 응집성(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가 분명히 인식할 수 있거나 일관성있게 상호관련이 있다는 것)
  • 패턴(상호관련을 통해 시스템을 구조화하는 속성)
  • 목적(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목적있는 행동을 한다.)
이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2 참고자료 #


댓글 남기기..
이름: : 오른쪽의 새로고침을 클릭해 주세요. 새로고침
EditText : Print : Mobile : FindPage : DeletePage : LikePages : Powered by MoniWiki : Last modified 2018-04-13 23:12:53

믿음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행동이다. 진정한 믿음을 가졌다면 지금 곧 행동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