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분산트랜잭션오류의 원인
2 해결 방법들
3 DTCPing.exe 사용 방법
4 참고사항


1 분산트랜잭션오류의 원인 #

  • MSDTC 서비스가 시작되지 않은 경우: 서비스를 시작해준다.
  • Name Resolution이 되지 않은 경우: hosts파일에 host이름 및 IP를 적어준다. DTCPing.exe를 이용하여 검사한다.
  • RPC통신을 위한 포트 설정이 되지 않은 경우: http://support.microsoft.com/kb/250367/ko를 보고 설정한다.
  • H/W 방화벽이 막힌경우: RPC통신을 위한 포트 설정이 되었으나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시스템 관리자에게 문의
  • 기타 원인: SET XACT_ABORT ON 으로 세션 설정등 자질구레한 도움말에 나오는 것들..

2 해결 방법들 #

3 DTCPing.exe 사용 방법 #

  1. 분산 트랜잭션에 참여할 두 서버에 DTCPing.exe의 압축을 풀고, 동시에 실행시킨다. (Targe Server는 서버의 Host Name)
  2. DTCPing.exe의 압축을 푼 폴더에 로그파일이 저장된다.
  3. 로그 파일을 열어 어떤 연결성 문제가 있는지 분석한다.

4 참고사항 #

  • 클러스터 환경이라면 가상서버 환경이라는 점을 고려한다. (예: hosts파일에 가성서버 IP를 적어준다.)
  • DTCPing.exe는 OS 보안설정에서 Remote RPC가 막혀있는 경우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Retrieved from http://www.databaser.net/moniwiki/wiki.php/분산트랜잭션오류
last modified 2018-04-13 23:12:53